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핑크스의 나라, 이집트의 역사

세계 역사 이야기

by oddeuki 2022. 4. 15. 00:39

본문

이집트의 시작

기원전 3150년경, 이집트는 상,하로 나누어져 있던 영역을 메네스가 통일했고, 약 3천년 동안 다양한 왕조가 번갈아 가며 왕국을 이어갔습니다. 이집트 문화는 종교, 예술, 언어에서 독창적인 세계를 구축하면서 번창했습니다. 스핑크스와 왕조의 피라미드는 모두 고대 이집트의 대표 건축물입니다. 통일된 이집트의 두 왕조는 고대 왕국의 강력한 힘이 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고대 왕국 동안, 많은 피라미드가 세워졌고 이집트 제3왕조와 제4왕조 피라미드가 세워졌습니다.

이집트는 약 150년 동안 지속된 정치적 혼란스러운 기간을 겪습니다. 하지만 더 강한 왕국의 안정을 되찾고, 새로운 중왕국 시대는 기원전 2040년경에 시작됩니다. 중왕국은 아메넴헤트 3세의 치세에 절정을 이뤘지만 기원전 17세기경 셈어족인 시나이 반도와 레반트 지방이 힘을 모았습니다.

그들의 대표로 힉소스가 이집트를 침공하여 통치하면서 왕국은 다시 분열되었습니다. 힉소스는 이집트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아바리스를 새로운 수도로 만들었습니다. 테베의 지도자 아흐모세 1세는 힉소스를 나일 강에서 몰아내고, 18번째 이집트 왕조를 세웠고, 통일 이집트의 수도를 멤피스에서 테베로 옮겼습니다. 이집트 신왕국은 아흐모세 1세의 18번째 왕조로 시작되었습니다. 이때 이집트는 강력한 힘을 바탕으로 동쪽으로 누비아의 톰보스에서 레반트 지역까지 점령합니다. 하체푸트, 투트모세 3세, 아크나톤과 네페르티티, 투탕카멘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유명한 파라오들이 이 시기의 통치자였습니다.

일신교는 아톤을 중심으로 처음 확립었지만, 다른 신들의 존재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일신교로 간주되지는 않습니다. 이집트인들은 국제적으로 다른 나라들과 활발하게 교류하기 시작했지만 강가 지역의 침입과 테베의 아문 대사 제단의 내홍으로 인해 위쪽 이집트와 아래쪽 이집트의 유대는 다시 약해졌습니다.

이집트는 리비아의 침공과 쿠시 왕국의 정치적 영향력에 받았지만, 이집트는 다시 독립합니다. 크세르크세스 1세의 무덤에 그려진 이집트 병사들 기원전 6세기에, 아케메네스 제국은 이집트를 정복했다. 이집트 제27왕조는 모두 아케메네스 왕조의 지배를 받았지만, 페투바스티스 3세의 봉기로 페르시아의 지배에서 해방되었습니다. 이집트는 이집트 제30왕조 때까지 독립국가로 남았지만, 기원전 343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의 침공으로 패배하여 아케메네스 제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패배한 이집트 왕국은 기원전 332년에 페르시아의 사트라피가 되면서 파라오는 페르시아의 소유가 되었습니다.

1900년대 이집트

1953년 6월 18일, 이집트 공화국은 초대 대통령으로 무함마드 나기브 장군이 당선됩니다. 나세르는 1956년 6월에 대통령이 되고, 운화의 국유화를 선언합니다. 이 선언으로 제2차 중동전쟁의 서막이 됩니다.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는 아랍 연합 공화국을 세웠지만 공화국은 오래 지속되지 않고 1961년 시리아가 독립했을 때 해체됩니다. 예멘 왕국은 아랍 연합 공화국에 가입하였으나 곧 분리되었다. 1967년, 이스라엘은 이집트의 시나이와 가자 지구를 침공하여 점령했고, 제3차 중동 전쟁이 시작됩니다. 1970년경, 나세르가 죽고 안와르 사다트가 두번째 대통령으로 취임합니다.

1972년, 사다트는 소련으로부터 정치 고문들을 추방했던 자유 진영에 가담하고 싶어합니다. 종교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인티파흐“라고 불리는 경제 개방 정책을 시도합니다. 1973년, 이집트는 시리아와 함께 시나이 반도와 골란 고원을 기습 공격하여 욤키푸르 전쟁을 일으켰습니다.

사다트는 시나이 반도를 포위하고 외교 협상을 통해 이 지역의 지배권을 되찾았습니다. 이 기습 공격은 미국과 소련의 개입을 초래했고, 군사적 교착상태로 끝났지만 사다트는 이스라엘과의 평화를 대가로 시나이를 되찾았습니다. 1977년, 사다트는 이스라엘이 시나이에서 완전히 철수하는 조건으로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평화협정에 서명했습니다.

사다트는 아랍계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사다트에 의해 아랍 연맹 탈퇴되었지만 이집트인들은 사다트의 결정을 지지했습니다. 1981년 10월 6일, 욤키푸르 전쟁 8주년 기념일에 사다트가 암살되면서 끝났고, 호스니 무바라크가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지금의 이집트

이집트는 "에집트, 에굽"이라고 발음하며, 이집트의 인구는 1억명이 넘고, 세계적으로 13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입니다. 북아프리카와 서아시아의 시나이반도에 걸쳐있는 국가입니다. 이집트는 지중해 인근에 위치하고, 가자 지구를 통해 지나가면 팔레스타인과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집트의 북동쪽으로는 이스라엘, 동쪽에는 아카바만과 홍해가 있고, 남쪽엔 수단, 서쪽엔 리비아가 있습니다. 아카반 만을 건너면 요르단과 사우디아라비아, 그리스, 터키, 키프로스 등과 마주하고 있습니다. 이집트의 국교는 이슬람교이고, 주언어는 아랍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집트는 아랍세계에서 지역 강국으로 평가받고 있고, 21세기에는 세계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이집트는 아프리카에서 3번째로 큰 경제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집트는 UN의 창립회회원국, 아랍연맹, 아프리카 연합, 이슬람협력기구의 창립국가입니다.

이집트의 기후는 겨울에만 비가 내리고, 몇년마다 가끔 내리는 정도입니다. 일부 해안 도시에는 눈이 내리며, 서리는 시나이 중부나 이집트 중부에서 가끔 발견됩니다. 평균 기온은 27~30도 정도로, 일부 해안은 43도까지 올라갑니다. 현재 이집트 물가는 일반 국민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올랐고, 빈부격차가 심한 편입니다. 이집트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IT분야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와 오라클 등 글로벌 기업과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