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그리스 최고의 도시, 고대 아테네 이야기

세계 역사 이야기

by oddeuki 2022. 4. 8. 20:37

본문

아테네의 전성기

아테네는 아테나 여신과 관련되어있는 도시입니다. 아테네는 세계적으로 오래된 도시이며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고의 도시입니다. 기원전 8~9세기, 그리스는 왕정 체제였습니다. 이후에는 왕정체제가 사라지고 귀족을 중심으로 한 정치가 시작되었습니다. 대부분 부유한 평민이 등장하고, 중병급 군사적 역할이 커집니다. 그러면서 아테네의 정치가(페이시스트라토스, 클레이스 테네스)와 입법자(솔론)가 세력을 얻게 됩니다.

페르시아 전쟁 후, 각 도시국가는 제국주의를 추구했고 그리스가 패권을 노렸습니다. 이 경쟁에서 아테네가 정치적인 패권을 가장 많이 차지했습니다. 기원전 444년 ~ 429년, 페리클레스 시대(웅변가, 장군으로 그리스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에 아테네의 부와 문명은 최고 정점을 찍었습니다. 그리스의 예술, 학문, 철학의 중심인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도 아테네에 있었습니다. 아테네는 소크라테스, 페리클레스, 소포클레스 등 위대한 위인을 낳았습니다. 아테네는 민주정치를 추구했지만,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가 카이로 네 아 전투에서 민주정치의 의견을 제압합니다. 그리고 그리스를 장악합니다.

아테네의 민주주의 역사

그리스의 여러 도시들은 점차 민주주의를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도시를 운영할 때, 소수에 의한 지배가 아니라 다수에 의한 지배가 좋다는 것을 미리 깨우친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독재를 통해 수많은 희생을 낳고 알았는데 대단합니다. 과거엔 소수의 귀족이나 왕 등에게만 통치의 특권을 부여했지만 자유로운 남자 성인이 직접 통치하게 됩니다. 즉, 통치자의 권한은 "남자"로 국한됐습니다. 그래서 미성년자, 여자, 노예, 외국인은 통치자를 직접 투표할 수 없었습니다.

아테네는 민회를 열어서 국가적 외교 문제, 재정문제, 군사 작전 등을 함께 고민하고 결정했습니다. 이 민회에는 20세가 넘은 남자 시민들만 참석이 가능했습니다. 평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려면 30세가 넘어야 가능했습니다. 그리고 모든 시민은 법을 어기면 소송을 제기할 권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모든 재판은 시민들에 의해 판결이 났습니다. 시민들은 배심원으로써 양쪽 발언을 듣고 판단을 내렸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판사가 하는 역할을 모두가 했었습니다.

아테네 민주주의에 큰 영향력을 준 인물로는 솔론, 클레이스테네스, 에피알테스, 페리클레스 등이 있습니다. 이때쯤에 "인민에 의한 지배", "민주주의"를 뜻하는 "데모 크라티아"라는 말이 탄생합니다. 아테네 민주주의는 유권자와 시민권은 성인 남성에게만 주어졌다는 점이 아쉬웠습니다.

그리스의 최고 도시이자 수도권인 아테네

현재도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고의 도시로 남아있습니다. 아테네는 3,4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된 도시입니다. 아테네 안쪽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는 2011년을 기준으로 66만 명입니다. 아테네 경계권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는 310만 명으로 약 380만 명이 아테네에 살고 있습니다. 아테네 인구가 이렇게 많은 이유는 1920년대 그리스-터키 전쟁으로 피난민들이 아테네로 이동했기 때문입니다. 1930년대에는 아테네 인구가 70만명으로 늘어났습니다.

아테네는 산이 4개로 둘러쌓인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 특성을 가졌습니다. 4월까지는 비가 많이 내리고, 여름에는 비가 가 내리지 않고 소나기 정도만 내립니다. 그래서 아테네는 정말 건조한 나라에 속합니다. 반면 북부쪽은 겨울에는 눈이 자주 내리고, 기온이 떨어집니다. 봄과 가을이 가장 좋은 날씨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와 비슷한데 좀더 덥고 건조한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아테네는 고대 기념물과 예술 작품이 잘 보관되어 있습니다. 아테네에 방문하면 서양 초기 문명의 기념비적 건물인 아크로폴리스의 파르테논 신전과 로마제국, 비잔티움 제국의 유적을 볼 수 있습니다. 아테네의 랜드마크로는 그리스 의회 의사당, 아테네 학회, 아테네 대학교 등이 있습니다. 그리스가 여행코스에 필수인 이유가 고대유적지를 보기 위해서 입니다.

관련글 더보기